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83

Linux - ps aux | grep 프로세스이름 ps aux | grep 프로세스 이름 여기서 STAT는 - R(Runable) : 실행 대기 상태 - S(Sleeping) : 수면 상태 - D(inDIskwait) : 입출력을 기다리는 상태 - T(sTopped) : 멈춰 있거나 흔적이 남아있는 상태 - Z(Zombie) : 죽었지만 프로세스에 남아있는 상태 (자원 낭비) 출처: https://eehoeskrap.tistory.com/245 [Enough is not enough] [Linux] 프로세스 확인하기 1. 프로세스 목록 확인 ~$ ps 2. 프로세스 목록 확인 - 자세한 정보 ~$ ps -f 3. 모든 프로세스 리스트 확인 ~$ ps -e ~$ ps -ef 4. 프로세스 목록 배열 및 시스템 자원 사용률 확인 ~$ ps -aux * -a.. 2020. 3. 4.
Linux - mv 명령어 정리 mv [명령어] [파일] [파일] mv ROOT - temp/ ROOT.old - ROOT 디렉터리를 temp의 ROOT.old로 변경하여 이동시킨다. mv temp/ROOT - temp/ROOT temp안에 ROOT폴더를 현재 mv를 실행시키는 디렉터리로 옮긴다. - b : 백업 후 이동 - f : 폴더가 존재하면 덮어쓰기 - i : 같은 폴더가 있으면 물어봄 - v : 진행사항 표시 2020. 3. 4.
Linux - cp 명령어 정리 cp 명렁어 정리 cp 1.txt 2.txt - 1.txt를 2.txt로 이름을 변경하여 복사 cp 1.txt fileroot - 1.txt를 fileroot에 복사 cp 1.txt fileroot/2.txt - 1.txt를 fileroot안에 2.txt로 이름을 변경하여 복사 cp -r fileroot1 fileroot2 - fileroot1을 fileroot2 안에 복사 cp -r fileroot1 fileroot2/asd - fileroot1을 fileroot2에 asd로 복사 - a : 복사시 속성까지 복사됨 - p : 원본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까지 복사 - i : 덮어쓰기 할 것인지 물어봄 - r : 디렉터리 복사 - v : 복사 시 작업 진행 표시 - u : 최신파일이면 복사 - b : 이미.. 2020. 3. 4.
Linux - diff 정리 diff는 문서 2개가 있을때 문서1과 문서2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비교해보는 명령어이다. diff [옵션] 문서1 문서2 를 쓰면 된다. 현재 diff를 찾은 이유는 diff 옵션 중에 -Z의 뜻을 모르기 때문이다. 찾아봤는데 -Z는 줄 끝의 공백을 무시한다는 것이다. 나머지 옵션은 밑에있는 사이트를 참고하길바란다. http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1/diff.1.html diff(1) - Linux manual page DIFF(1) User Commands DIFF(1) NAME top diff - compare files line by line SYNOPSIS top diff [OPTION]... FILES DESCRIPTION top Compare FILES.. 2020. 3. 4.